현재 사용중인 브라우저 정보

귀하께서 사용하시는 브라우저 종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 입니다.

원할한 W브릿지 이용을 위해서는 Edge 브라우저나
Chrome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Wbridge 로고

과학기술커리어트렌드

주간커리어뉴스

반도체·이차전지·원자력·양자·AI·바이오, 12대 국가전략기술 공식 확정

#STEM#여성과학기술인#이공계#트렌드#커리어

조회수 4036 좋아요0 작성일2023-12-22

 

 


 

 

| 반도체·이차전지·원자력·양자·AI·바이오, 12대 국가전략기술 공식 확정

 

한국의 미래 경쟁력을 책임질 12대 국가전략기술이 공식 확정됐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20일 서울 종로에서 ‘국가전략기술선정안’을 심의·의결하고 12대 국가전략기술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AI),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등 12개 기술을 선정하였다.

올해에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 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 제조, 양자가 12대 국가전략기술로 선정되었다. 정부는 앞서 12대 국가전략기술이 확정되면서 구체적 중점기술 50개의 세부 정의도 마련했다. 

연구 기관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기술 목표와 연구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는 단순히 경제성장을 넘어 국가생존의 핵심”이라며 

“세계 최고에 도전하는 혁신·도전적 연구개발로 전략기술을 주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말했다.

 

☞ 관련 기사 보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956391?sid=105

 

 

| 사이버 보안·인재 1만9천명 양성, 내년 예산 20%↑

 

사이버보안 전략산업화를 위해 전문 보안인재 양성에 나선 정부가 내년에는 여러 분야별 전문적이고 고도화된 인재 양성을 위해 예산을 20% 증액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도 사이버보안 10만 인재 양성 성과보고회’를 개최하고 올해 성과와 내년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지난해 정부는 ‘사이버보안 전략산업화 및 수요자별 보안 패러다임 전환지원’을 국정과제로 추진하며 사이버 인재를 기르는 일을 

국가의 중요 정책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를 비롯해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등의 부처가 참여해 다양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2026년까지 사이버보안 재직자 6만명, 신규 4만명 등 총 10만명을 양성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 사업을 착수했다. 

정보보호특성화대학을 기존 2개에서 5개로 확대·개편하였으며 고급 보안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K-쉴드’와 함께 

고등학생, 대학생 대상으로 실무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는 과정도 신설했다. 이를 통해 올해 약 500명의 인재를 육성할 수 있었다. 

정부는 올해의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 더욱 적극적인 인재양성을 위해 내년 예산을 올해 대비 20% 증액한다는 방침이다. 

내년에는 전문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고 다 부처간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며, 차세대 보안관제 전문 인력 양성 과정 신설, 전문 인력 확보에 나선다. 

또한 고급 보안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을 7개로 확대, 대학원 또한 10개에서 12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 관련 기사 보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15664?sid=105

 

 

| 외국인 석·박사 귀화 확대... R&D 인재육성 ‘투트랙’

 

정부가 연구개발(R&D) 최고급 인재 확보를 위해 전문영역 ‘특화 인재’뿐 아니라 

인접 분야 간의 이동이 가능한 ‘공통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투트랙’ 전략을 내놓았다. 

이 중 우수 외국인 인재에는 영주·귀화 패스트트랙‘ 확대 적용을 검토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국가전략기술 인재 확보 전략’을 발표하며 기존 인재 정책이 부처별 소관에 따른 기술 분야에 특정돼 광범위한 

인재를 양성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했다. 분석을 바탕으로 여러 기술군에서 공통으로 활용 가능한 연구 인력이 있다는 점을 확인, 특화 R&D 인재는 

대학 또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전략기술 특화연구소를 설치해 육성하고, 공통 R&D 인재는 

특화교육기관 지원체계를 따로 만들어 연구비 등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예로 이차전지 모듈·팩 전문가는 특화 인재로, 이차전지뿐만 아니라 더 넓은 전기화학 전반을 다룰 수 있는 연구자는 공통 인재로 분류한다. 

더불어 데이터를 활용한 인재 관리 또한 강화한다. 기술 분야별 연구자의 국가·기관 간 이동을 분석해 인재 성장 흐름과 유출입을 파악, 

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 등록 연구자 51만명의 국가 R&D 과제 참여 시 취업정보도 파악한다. 

이외에도 R&D 인재의 글로벌 교류 지원 강화, 우수 외국인 인재의 국내 정착을 위한 기회 확대 심의·의결되었다.

 

☞ 관련 기사 보기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1220500200&wlog_tag3=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