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중인 브라우저 정보

귀하께서 사용하시는 브라우저 종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 입니다.

원할한 W브릿지 이용을 위해서는 Edge 브라우저나
Chrome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Wbridge 로고

과학기술커리어트렌드

미래유망직업

[전문가칼럼] 인공지능이 가져온 초개인화된 식문화

#여성과학기술인#푸드테크#토기#초개인화#푸드AI#푸드알고리즘#식품플랫폼

조회수 789 좋아요0 작성일2023-11-29
[전문가칼럼] 인공지능이 가져온 초개인화된 식문화 



최영덕 토기 CEO 

 

前 주식회사 뤼이드 CTO

Yale University 컴퓨터공학 박사 중퇴

Yale University Frederick Vanderbilt Fellowship

New York University 수학 석사

New York University 컴퓨터공학, 수학 학사

Phillips Exeter Academy 졸업

1) 챗GPT 개발사인 OpenAI 멤버들과 생성형 인공지능 공동 연구 경력을 갖고 있다고 들었다. 어떻게 생성형 인공지능을 식품과 연결 짓게 됐나.  


2012년도부터 인공지능 연구를 시작했고, 생성형 AI 원천 기술 연구, 의료 AI, 교육 AI 등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였다. 그 경험을 바탕으로 2021년 토기를 설립하고 식음료계에 뛰어들게 되었다. 먹고사는 문제의 사회적 중요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급 기술 인력을 선호하지 않는 분야라는 문제 의식과, 인공지능이 근시일 내에 활약할 수 있는 기반이 있다는 점이 개인적 성향과 상당히 잘 맞는다고 생각해 창업을 결심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식음료 시장은 규모가 매우 크고, 데이터가 많이 축적되는 분야다. 이 외에도 문화적 다양성과 연결성, 낮은 마진율, 성장하는 마켓이라는 다섯 가지 특징으로 인해 인공지능과 사람이 함께 만들어 갔을 때 시너지가 매우 클 것으로 판단하였다.

 

2) 토기에서 가장 눈에 띄는 서비스가 ‘토기공간’이다. F&B AI 알고리즘 플랫폼이라고 하는데 해당 서비스가 무엇인지 어떤 기술로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설명해달라.


   

▲ (좌)토기공간 메인 화면, (우) 인스타그램 장소 추천화면

토기공간은 기존의 식음료 플랫폼들을 일반화한 식음료 통합 AI 알고리즘 플랫폼이다. 유저는 토기공간을 통해 정적인 식음료 정보를 받아보는 것이 아닌 초개인화 된 형태의 식음료 정보를 받아보게 되고 그것을 통해 식비의 비효율을 줄인다던지 더 효율적으로 정보를 활용하고, 더 즐거운 맛집을 찾는 등 다양한 식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


이용자가 토기공간 앱에 쿠팡·마켓컬리·유튜브·인스타그램 등 기존 사용 앱 기록을 연동하면 취향에 맞는 식품류와 최저가 할인 정보, 레시피, 음식점 등을 알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연동을 통해 이용자의 식음료 구매내역이 자동으로 인식되고 그것을 기반으로 오늘 나온 대한민국 식음료 특가 중 이용자에게 가장 효율적인 제품을 인공지능이 친절한 설명과 함께 추천해주는 방식이다.


또한 인스타 기반 데이트 장소 추천 기능이 있는데, 특정 위치를 선택하면, 이용자 2명의 인스타그램 공개 게시물의 태그와 텍스트 등을 분석하고 2명의 선호에 가장 부합하는 음식점을 알려주는 서비스다. 연인끼리 취향을 공유해 '우리만의 공간'을 만들어 나가는 컨셉을 가지고 있다.


3) 인공지능과 식품산업을 더 긴밀히 연결하기 위해서 앞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나 노력이 있다면.

 

먹고사는 문제의 기술적 중요성과 깊이에 대해 알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을 통해 인재와 자본을 모으지 않으면 인공지능이 가지고 있는 포텐셜을 끌어내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먹고사는 문제의 철학적 깊이와 인공지능을 통해 객관적 지표들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미래 지향적 토론을 통해 사회적인 인식이 변해갔으면 한다.


▲ 인공지능이 특가 할인 제품을 추천한다.

 

4) 인공지능과 식품(산업)을 연결하고자 하는 사람이나 푸드테크에 흥미를 갖고 진출을 희망하는 사람에게 조언한다면.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제를 푼 사람들은 대부분이 그 문제의 중요성을 남들보다 섬세하고 더 빠르게 파악하고 그 시대가 제시한 기술적 바탕을 기반으로 문제를 풀어 나갔다. 따라서 자부심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인공지능과 식품 산업을 연결 짓는 것은 쉬워 보이지만 전혀 쉽지 않은 문제다. 또 누구나 알고,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문제이기에 누구나 평가를 쉽게 할 수 있어 숨을 곳이 없는 상당히 개방되고 솔직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 문제를 풀고자 했던 의의를 잘 생각하면서 여유를 갖고 임하는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