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사용중인 브라우저 정보

귀하께서 사용하시는 브라우저 종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브라우저 입니다.

원할한 W브릿지 이용을 위해서는 Edge 브라우저나
Chrome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Wbridge 로고

과학기술커리어트렌드

주간커리어뉴스

'인공세포' 제작 등 합성생물학 9대 분야 본격 지원

#STEM#여성과학기술인#이공계#트렌드#커리어

조회수 125 좋아요0 작성일2023-11-03


 

 

 

| ‘인공세포’ 제작 등 합성생물학 9대 분야 본격 지원

 

정부가 의약품 생산의 핵심 기술인 합성생물학 연구를 본격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합성생물학 핵심 기술 개발 및 확산 전략’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12월에 나온 국가 합성생물학 육성 전략의 후속 조치다. 

정부는 의료 분야 혁신과 오염물질 분해, 고부가 소재 생산 등 합성생물학을 적용하는 9대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합성생물학은 공학적인 설계에 따라 생명시스템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생명공학에 디지털을 접목시킨 학문으로 유전체를 읽어내는 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직접 쓰는 수준까지 발전한 것이다.

9대 선도프로젝트에는 최근 세계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항체 의약품의 생산 플랫폼 개발, 

유전자를 편집한 미생물을 활용한 기술 등이 있다. 유전자설계를 통한 광합성 효율 향상 기술도 포함 되어있다.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합성생물학의 핵심 인프라를 구축, 추진 중이다.

 

☞ 관련 기사 보기 :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1030/121942085/1

 

 

| 예비 과학자 연구기획 도전 기회 제공...KIRD ‘국가 R&D 리얼챌린지’ 주목

 

연구개발 현장에서는 전문지식을 비롯한 창의적 문제해결 및 기획 능력 등 실무형 인재가 필요하다. 

이에 반해 실제 현장에서는 신입 과학기술 인력의 실무 수준과 요구 수준 간 격차가 발생하면서 

부족한 경험을 앞서 쌓을 수 있는 선행형 교육 프로그램 중요성이 커진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원장 배태민, KIRD)은 ‘국가 R&D 리얼챌린지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연구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R&D 현장의 인력 부족 문제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2018년 출범 이후 지난 5년간 이공계 대학원생으로 이뤄진 84개의 연구팀에서 총 280명의 수료생을 배출해냈다. 

지난해의 경우 프로그램 첫 시행 대비 지원자 수가 6배 수준으로 늘며 KIRD 대표 교육 사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성과를 추적 관리해 연구 계획서 외에도 논문·특허 분야까지 성과 확장을 유도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연구기획 프로세스 전반을 경험할 수 있었던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고 있으며, 

배태민 원장은 경제성장과 함께 삶의 질 향상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R&D 패러다임이 점차 확장되고 있는 시대라며 

KIRD는 국가 R&D 리얼 챌린지 프로그램을 통해 차세대 이공계 인재들의 R&D 연구기획 실제 경험 증가와 

지역 R&D 문제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관련 기사 보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150873?sid=102

 

 

 

| 은퇴 과기인, 과학기술로 인력부족 산업분야 도와야

 

박진우 서울대 산업공학과 명예교수는 인구감소 시대에 인력이 부족한 공장을 스마트 공장으로 전환하고 

이를 운영하는데 은퇴과학자들이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경제성장률이나 출생률, 고령화 등 여러 지표에서 심각한 상황에 놓여있다며 

이 같은 상황에서 최소한의 인력으로 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도입이 시급해졌다고 말하며, 

스마트공장기술을 통해 우리는 일자리재창출뿐 아니라 기술수출을 통해 자본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스마트공장의 자동설비는 은퇴자들도 충분히 다룰 수 있어 재취업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저출산 고령화로 생산 인구가 줄어들어 스마트공장 기술의 인력 대체 가능성을 눈여겨보고, 

시니어과학기술인들은 과학기술을 활용해 인력 부족으로 위기를 겪는 산업 분야가 생산성을 회복하도록 도와야한다”고 제안했다.

 

 

☞ 관련 기사 보기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313

 

 

| 과기정통부, 지방 디지털화를 위한 30조원 지원과 디지털 인재 육성 지원

 

정부가 지방 디지털화 확대를 위해 2027년까지 지방 디지털 경제 총생산액 30조원, 디지털 인재 정착률 50%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같은 내용의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하며 윤석열 정부가 발표한 ‘지방시대 비전과 전략’의 9대 정책 중 하나인 ‘디지털 재창조로 지방 신산업 혁신역량 강화’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기업·인재의 육성과 정착, 기술고도화 등 지방의 경쟁력 있는 ‘디지털 생태계’의 성장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주요 내용으로는 디지털 기업이 1000개 이상 집적된 국가 디지털 혁신지구 조성, 인공지능, 디지털트윈,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 4대 신기술 기반 구축 본격화 등의 계획들이 포함되어있다.

이와 더불어 지방 대학이 지방 디지털 생태계 성장을 주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디지털 선도 지방대학’ 육성 계획도 마련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앞으로 지방의 자율성을 최우선에 두고 각 지방만의 특색 있는 디지털 성장전략의 지원을 통해, 지방에서도 창업에 적극 도전하는 인재와 글로벌 스타트업을 배출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디지털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하겠다고 이야기했다.

 

 

☞ 관련 기사 보기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334680?sid=105